
파이썬 다운받기 파이썬 웹페이지에서 시작하기 파이썬은 브라우저에서 운영되지 않으므로 시작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직접 설치하지 않고 다음 웹페이지를 추천합니다. https://repl.it/languages/python3 Python Online Compiler & InterpreterWrite and run Python code using our Python online compiler & interpreter. You can build, share, and host applications right from your browser!replit.com 이곳에서는 아무것도 다운로드하거나 설치하지 않고 바로 웹페이지에서 파이썬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 직접..

이제 파이썬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여기까지 잘 따라오셨다면 여러분은 보통 사람은 아니십니다. 이제 더 재미있고 놀라운 파이썬의 세계에 오셨습니다. 간단히 알아 보겠습니다. 우리가 파이썬에 대해 알아볼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이썬의 기능설명 파이썬은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는가?변수, 루프, If문 사용하기리스트와 정규표현식같은 심화기능웹페이지에서 데이터 추출하기 파이썬은 웹 기반 앱과 데스크톱 앱 모두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또 사물인터넷 기기를 위해서도 사용됩니다. 아주 강력하고 유연한 언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을 배우는 이유와 특징 사용자끼리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위해서는 '서버'가 필요합니다. 서버는 항상 켜져있고 언제나 인터넷과 연결된 컴퓨터를 말합..

앞의 part 1의 내용에 바로 이어서 이어나가 보겠습니다. 앞에서 입력창에 숫자를 입력하고 버튼을 누르면 바로 아래줄에 그 숫자가 똑같이 출력되는 것까지 했습니다. 이제 이제 난수생성기를 추가하고 사용자의 추측숫자를 생성된 난수와 비교하고 그다음 적절한 메시지를 보여주는 기능까지 구현해 보겠습니다. 난수생성기 추가 & 적절한 메시지보여주기 다음은 모두 자바스크립트 코드이므로 앞의 html코드를 손댈 필요가 없이 그냥 앞전 코드에 몇줄의 코드를 추가만 하면 됩니다. 윗 코드를 실행해 보면 아래처럼 결과가 나옵니다 정답여부에 따라 텍스트컬러 바꾸기 & 다시 시작하는 옵션주기 정답의 여부에 따라 텍스트색깔을 변하게 하는 기능을 만들어 봅시다. 아래 코드를 사용합니다 do..

자바스크립트 난수만들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일명 추측게임이라고도 합니다. 추측게임을 만들기 위해서는 1과 10사이의 전체 난수가 필요하므로 아래 함수를 이용합니다. document.getElementById("my-div").innetHTML = Math.random() 메인리스트로 가기 추측게임이란 ? 어떤 수가 나올지 추측한다는 의미에서 '추측게임'이라고 부른다 이 코드를 실행하면 0부터 10까지의 숫자가 무작위로 하나씩 출력됩니다. 그야말로 복불복 게임이나 복권추첨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코드는 어려워 보이지만 해석하면 쉽습니다. ' *10은 10으로 곱셈하라'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0과 10사이의 난수를 얻게 됩니다. Math.floor 부분의 'floor'는 소수점 이하의 ..

이제 여기까지 내용을 소화했다면 자바스크립트로 간단한 추측게임을 만들 수 있는 수준까지 근접하셨습니다. 그러나 그전에 난수를 생성할 줄 알아야 합니다. 난수는 아래 코드를 이용해 만들 수 있습니다. Math.random() 아래 코드를 이용해 실행할 수 있습니다. document.getElementById("my-div").innerHTML = Math.random() 위 코딩을 작성해서 실행해 보겠습니다 결과값입니다 세번을 연속실행해봤는데 무작위로 매번 각각 다른 결과가 나왔습니다. 온라인복권추첨도 이 난수기능을 이용해서 실행된다고 합니다. 메인리스트로 가기

데이터란 다양한 정보를 표현한 것이다. 여기서 '다양한'에 주목해야 한다. 데이터는 종류에 따라 그룹화할 수 있습니다. 음식 요리법을 예로 들어 다음과 같이 그룹화(type)할 수 있습니다. 메인리스트로 가기 재료 돼지고기 소고기 양파 양배추 조미료 간장 마요네즈 후추 설탕 등 분량 100g 200cc 1작은술 등시간 시 분 초불의 세기 센불 중불 약불 프로그래밍 알고리즘에서 다루는 데이터도 다양한 그룹으로 나누어서 다룹니다. 이러한 분류를 '데이터타입'이라고 합니다. 정수타입 정수(소수점이 없는 값) 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 예) 0, 1, 100, -123실수타입 실수(소수점을 포함한 값)를 처리하기 위한 데..

데이터의 속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데이터란 다양한 정보를 표현한 것입니다. 요리에 비유한다면 아래의 모든 내용은 요리법이라는 알고리즘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리의 재료와 조미료의 양돼지고기 120g당근1/2개설탕 1큰술간장 2.5큰술양파 1/2개감자 2개맛술 2큰술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에서도 문제해결을 위한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를 이용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각각의 알고리즘을 표현하는 경우 필요한 데이터는 다음과 같습니다.최대공약수를 구하는 알고리즘최대공약수를 구하는 2개의 정수값구한 최대공약수(정수값)정보의 순서를 정렬하는 알고리즘정렬할 값이 담긴 열정렬값의 개수정렬된 결과가 담긴 열 이렇게 알고리즘을 고안할때는 다양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정보..
프로그래밍에서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작성하고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적 프로그래밍'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구조적 프로그래밍에서 프로세스의 흐름은 다음 3가지 구조를 조합해서 설명됩니다순차구조 >>> 작성된 순서대로 순차실행한다선택구조 >>> 조건에 따라 수행할 작업의 흐름을 바꾼다반복구조 >>> 조건이 일치하는 동안일정과정을 반복해서 실행한다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알고리즘 역시 이 3가지 구조의 조합으로 설명됩니다 이 내용은 모두 책 '그림으로 배우는 알고리즘'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출처 : 그림으로 배우는 알고리즘 - 예스24이 책은 알고리즘과 프로그램이란 무엇인지부터 시작하여 프로그래밍의 기초인 변수와 배열, 여러 개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구조에 대해 알려준다. 기초적..

새롭게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렵지 않게 정의와 개념부터 부담없이 접근해보겠습니다.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있다면 우리는 프로그램을 멋지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더 효율적이고 정확한 문제해결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게 됩니다. 알고리즘이란 컴퓨터를 이용해서 주어진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처리절차를 말합니다. 그 절차를 예를 들어보자면 정보의 순서를 정해 나열하고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며 몇개의 숫자들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이과정에의 '처리절차'를 알고리즘이라고 합니다. '문제해결을 위한 처리절차'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음식을 만드는 레시피도 음식을 만드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순서대로 기록한 것이며 일종의 알고리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