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중국은 반도체 산업을 국가 핵심 전략 산업으로 지정하고, 자급률 향상 및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 및 정책적 지원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2025년 중국 반도체 산업 정책의 핵심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핵심 목표: ‘중국제조 2025(中国制造2025)’ 지속 추진

     

    • 반도체 자급률 목표: 2025년까지 국내 반도체 자급률 70% 달성
    • 첨단 반도체 기술 개발: 7nm 이하 공정에서의 국산화 목표
    • 반도체 장비 및 소재 국산화: EUV(극자외선) 리소그래피 등 핵심 기술 확보

    📌 중국은 미국의 제재로 인해 반도체 공급망이 위협받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국산 반도체 기술 발전을 가속화하고 있음.


    2. 주요 정책 및 지원 전략 

    (1) ‘국가반도체기금(대기금)’ 3기 조성

     

    • 2025년까지 3,000억 위안(약 55조 원) 규모의 ‘국가반도체기금 3기’ 투자
    • 주요 투자 대상: 반도체 제조(Foundry), 설계(Fabless), 장비, 소재 기업
    • 대표적 수혜 기업: SMIC(중국 최대 파운드리), Hua Hong, YMTC(낸드 플래시 제조)

     

    (2) 세제 감면 및 보조금 확대

     

    • 반도체 기업에 대한 법인세 면제:
      • 28nm 이상 공정: 10년간 법인세 0%
      • 14nm 이하 공정: 10년간 법인세 0%, 이후 5년간 50% 감면
    • 연구개발(R&D) 비용 세금 공제 확대

     

    (3) 반도체 장비 및 소재 국산화 지원

     

    • EUV 리소그래피(노광장비) 개발
      • 상하이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MEE) 주도로 중국산 EUV 장비 개발
      • ASML(네덜란드) EUV 수출 제한에 대응하기 위한 자체 기술 확보 목표
    • 반도체 소재 국산화 추진

    3. 주요 기업 및 투자 동향

    파운드리(Foundry) SMIC, Hua Hong 7nm 칩 양산, 5nm 연구 진행
    메모리 반도체 YMTC(낸드), CXMT(D램) 낸드 232단 개발, D램 연구 강화
    반도체 장비 SMEE(리소그래피), AMEC(식각 장비) 28nm DUV(심자외선) 개발 완료, EUV 연구 진행 중
    반도체 소재 Nata(포토레지스트), Zhonghuan(실리콘 웨이퍼) 일본·미국 의존도 줄이기 위한 국산화 확대

     

    📌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로 인해 SMIC, YMTC 등 중국 반도체 기업들은 자체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음.


    4. 미국·서방 제재 대응 전략

    (1) 반도체 제조 자립 강화

    • SMIC가 7nm 공정 양산 시작 (EUV 없이 DUV 기반)
    • 양산 수율 및 성능 향상 목표

    (2) ‘디커플링(Decoupling)’ 가속화

    • 미국·일본·네덜란드의 첨단 반도체 장비 수출 제한 조치로 인해 중국 내부 공급망 강화
    • 중국 정부가 화웨이, SMIC 등 첨단 기술 기업을 지원하며 독자적인 반도체 생태계 구축

    (3) 러시아·중동과 협력 강화

    • 미국의 반도체 공급망 제재를 우회하기 위해 러시아 및 중동 국가들과 협력 확대
    • 중국산 반도체의 수출 다변화 추진

    5. 향후 전망 및 결론

     

    중국 반도체 산업의 핵심 목표:

    • 2025년까지 반도체 자급률 70% 달성
    • 14nm 이하 첨단 공정 국산화 가속화
    • 반도체 장비 및 소재의 해외 의존도 축소

    미국의 제재 지속 가능성:

    • 미국·일본·네덜란드의 반도체 장비 및 기술 수출 규제 강화 가능성
    • TSMC, 삼성, 인텔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의 협력 차단

    중국의 대응 방향:

    • 자체 반도체 공급망 강화 및 독자 기술 개발
    • 러시아·중동·동남아 시장 확대

     

    결론:


    2025년 중국의 반도체 산업 정책은 미국의 견제 속에서도 반도체 자립을 목표로 대규모 투자와 국산화를 추진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입니다. 첨단 공정 개발 및 반도체 생태계 완성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확대가 핵심 전략이 될 것입니다.

     

    인기글

     

     

    대체거래소에서 거래가능한 종목 거래불가능종목

    대체거래소에서 모든 종목을 거래할 수 있을까?     **넥스트레이드(대체거래소)**에서 출범 직후에는 모든 종목을 거래할 수 없다. 초기에는 제한된 종목만 거래가 가능하며, 이후 점차 거래

    np-eco.com

     

     

    K-PASS 카드사별 혜택 자세히 정리

    K-PASS는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교통비 환급 혜택을 제공하는 교통카드 프로그램입니다. 여러 카드사에서 K-PASS를 지원하며, 각 카드사별로 추가 혜택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소

    np-eco.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