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리스트'는 변수와 유사하지만 하나에 많은 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메일 수신함을 보면 이메일 앱은 각 이메일의 내용을 담기 위해 이름이 서로 다른 변수를 만들지 못합니다.

     

    이때 프로그래머는 리스트를 사용합니다. 파이썬을 제외한 다른 언어에서는 '배열(arrays)'이라고 부릅니다. 가족 구성원의 각각의 이름을 리스트로 만든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회원가입후 로그인하세요

     

     

     

    names = ["Rob", "Kristen", "Tommy", "Ralphie"]

     

    대괄호는 리스트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쉼표를 이용해 각 구성원, 구성요소들을 구별합니다.  전체 리스트를 아래와 같이 출력할 수 있습니다. 

     

    print(names) 

     

     

     

     

    위 코드를 출력하면 결과물은 아래와 같습니다

     

     

     

     


     

    리스트의 특정 내용에만 접근하고 싶다면 대괄호를 다시 사용해야 합니다. 

     

    print(names[0])      순서를 가리킬때 1이 아니라 0부터 시작하는 것 잊지 마세요

     

     

     

     

    결과물

     

     

     

     

    리스트 구성요소에 대한 번호가 0에서 시작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그래서 name[2]는 'Tommy'를 반환합니다. 초보자가 쉽게 까먹는 부분입니다. 구성요소의 각각의 번호는 '인덱스'라고 부릅니다. 

     

     


    전체코드로 살펴보겠습니다

     

     

     

     

     

     

     

     

     

     

     

     

    반응형